개발협력연대는 국제사회의 빈곤과 불평등 감소 및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구성된 정부, 기업, 시민사회, 학계 간의 협의체입니다.
개발협력연대(DAK) 분과위원회
목적 : 개발협력분야 내 민간 참여 주체간 정보공유 활성화 및 파트너십 강화
주요활동 : 전문성 교류, 세미나·포럼 개최, 컨설팅·지식 축적, 교육개발·운영 등
참가자격 : 개발협력연대(DAK) 회원기관 ※ DAK 비회원 기관은 DAK 사무국을 통하여 회원가입 완료 후 참가 가능
활동 연혁
활동 연혁
구분
운영 기간
주 제
1기(8개)
2015.08 - 2016.08
교육, 보건의료, 사회적경제, 성과관리, 임팩트 투자, 장애, 정책, 젠더
2기(8개)
2016.11 - 2017.08
교육, 보건의료, 사회적경제, 성과관리, 임팩트 투자, 장애, 국제개발컨설팅, 젠더
3기(8개)
2017.09 - 2018.12
교육, 보건의료, 사회적경제, 성과관리, 임팩트 투자, 장애, 국제개발컨설팅, 젠더
4기(9개)
2019.06 – 2019.12
교육, 보건의료, 농림수산, 장애, 젠더, 사회적경제, 베트남, 아시아, 아프리카
5기(5개)
2020.08 – 2020.12
감염병대응, 신남방, 환경(기후변화대응), 사회적경제, 젠더
6기(5개)
2021.07 – 2021.12
기후변화대응, 사회적경제, 젠더, 교육, 재난복원력 및 평화
지원내역 - 전문성 및 파트너십 지원(활동계획 수립 시 사무국, 분야전문가 지원, 전문가 매칭) - 분과위원회 활동비 지원(분과 활동에 소요되는 회의비, 자료수집, 자료 제작 비용 등) - 세미나(DAK TALK) 개최 지원(분과위 성과 등 부문별 이슈 공유, 정책제언, 컨설팅을 위한 대규모 공개세미나 등 DAK TALK 경비 지원)
사업 세부 형태 및 추진방법
DAK 정책협력사업
SDGs 인식제고 및 정책 형성, 정책 및 현장 사업과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국내·외 개발협력 시민사회협의체와의 협력사업으로, 국내 개발협력부문 연대체인 DAK 네트워크 내 분과위원회별 활동과 주제별 정책협력사업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 도모
추진 절차
사업공모
N-1년 하반기· 공모 제안서 접수· 심사· 수행기관 선정
사업착수
N년 (1월)· 실행협의 실시· 세부계획 수립· 약정체결
사업활동
연중· 교육 및 홍보(인지제고)· DAK 연계 활동
사업성과 공유
연중· 중간 보고회· 성과공유회· 결과보고
사업 관리 부서
시민사회협력실: 031-740-0564 / (팩스) 031-740-0576
보다 더 자세한 통계 자료는 개발협력연대(DAK)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개발협력연대(DAK) 사이트는 DAK 소개, DAK 회원, DAK 소식, 활동이야기, O.P.E.N 마켓, 민관협력 Archive, 회원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