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ICA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리딩 파트너와 함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UN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따르기 위해 IPS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사업 개요
혁신적 파트너십 프로그램(Innovative Partnership Program, IPS)은 KOICA가 기존에 시도하지 않은 새로운 분야, 지역, 방식 등을 시범적으로 진행하고, 학습 결과를 내재화 하여 KOICA내 타 사업유형으로 신규 사업모델을 확대·재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해외파트너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사업입니다.
사업 세부 형태 및 추진방법
프로젝트형사업 - 협력단이기존에 시도하지 않은 새로운 분야 또는 국가에서 전문성을 가진 해외민간파트너가 특정 프로젝트를 제안하여 협력단과 공동기획 후 시행하는 사업
이니셔티브형사업 - 협력단이기존에 시도하지 않은 새로운 분야 또는 국가에서 전문성을 가진 해외민간파트너를 포함한 다수의 파트너가 공동추진하는이니셔티브에 협력단이참여하여 개발협력사업의 효과성을제고하는 형태의 사업
참여대상
IPS 프로그램은 OECD/DAC ODA 적합 기구 분류 기준에서 공여국정부(11000), 제3국 정부(13000), 국제NGO(21000)*, 공여국기반 NGO(22000)*, 민-관 파트너십(31000)**, 네트워크(32000)**, 대학 및 연구소(50000)**, 지원국 소재 민간부문(61000)*, 수원국소재 민간부문(62000), 제3국 소재 민간부문(63000)*, 기타(90000)**에 해당하는 기관과 파트너십을형성하여 사업을 추진 (* 한국 기반 기관을 제외, ** 한국 및 수원국기반 기관을 제외)
IPS 프로그램은 혁신사업실외 KOICA 타부서가운영하는 사업유형의 대상에 포함되는 아래 기구는 중복사업 지원 방지와 IPS 프로그램 취지및목적 이행의 목적으로 파트너 범위에서 제외 - 국별협력사업: 수원국정부(12000) - 다자협력사업 : 다자기구(40000) - 시민사회협력사업 : ▲개도국 기반 NGO(23000), ▲공여국기반 NGO(22000, 기타(90000) 중 한국NGO, ▲민관-파트너십및 네트워크(30000) 중 한국 및 수원국기반 기관, ▲대학교, 교육기관, 연구기관 또는 두뇌집단(50000) 중 한국 및 수원국기반기관, ▲기타(90000) 중 한국 및 수원국기반 기관 - 혁신적기술프로그램및 포용적비즈니스프로그램: 지원국 소재 민간부문(61000)중 한국 기반 기관
추진 절차
수시 발굴 - 제안서 접수 혁신사업실은파트너로부터 IPS 프로그램 2개 유형별 제출필요서류를KOICA IPS 프로그램 제안서 접수용 공식 이메일(ips@koica.go.kr)을 통해 접수하여 분기별로 제안사업 정보를 관리
공모 발굴 - 실시 혁신사업실은 IPS 프로그램 사업을 KOICA의 기관 전략 및 정무적 필요를 반영하여 특정 수요를 제시하는 공모 방식으로 발굴 가능 - 공모공모 운영 혁신사업실은 IPS 프로그램 사업 공모 진행 시, 별도의 IPS 프로그램 사업 공모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동 계획에 따라 공모를 진행